[Evaluation of Post-Neoadjuvant Chemotherapy Pathologic Complete Response and Residual Tumor Size of Breast Cancer: Analysis on Accuracy of MRI and Affecting Factors]

Taehan Yongsang Uihakhoe Chi. 2021 May;82(3):654-669. doi: 10.3348/jksr.2020.0120. Epub 2021 Mar 22.
[Article in Korean]

Abstract

Purpose: To evaluate the accuracy of MRI in predicting the pathological complete response (pCR) and the residual tumor size of breast cancer after neoadjucant chemotherapy (NAC),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uarcy.

Materials and methods: Eighty-eight breast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after NAC at our center between 2010 and 2017 were included in this study. pCR was defined as the absence of invasive cancer on pathological evaluation. The maximum diameter of the residual tumor on post-NAC MRI was compared with the tumor size of the surgical specimen measured pathologicall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factors affecting pCR and the residual tumor size-discrepancy between the MRI and the pathological measurements.

Results: The pCR rate was 10%. The diagnostic accuracy of MRI and the area under the curve for predicting pCR were 90.91% and 0.8017, respectively. The residual tumor sizes obtained using MRI and pathological measurements showed a strong correlation (r = 0.9, p < 0.001), especially in patients with a single mass lesion (p = 0.047). The size discrepancy between MRI and the pathological measurement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patients with the luminal type (p = 0.023) and multifocal tumors/non-mass enhancement on pre-NAC MRI (p = 0.047).

Conclusion: MRI is an accurate tool for evaluating pCR and residual tumor size in breast cancer patients who receive NAC. Tumor subtype and initial MRI features affect the accuracy of MRI.

목적: 신보강화학요법을 시행한 유방암 환자에서 병리학적 관해와 잔류 암의 크기를 평가하는 데 있어 유방자기공명영상의 정확도를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대상과 방법: 2010년부터 2017년까지 본원에서 신보강화학요법 후 수술을 시행한 88명의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병리학적 관해는 수술 병리 결과에서 침윤성 유방암이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정의하였고 자기공명영상과 병리 조직의 잔류 암 크기 차이는 최대 직경으로 비교하였다. 병리학적 관해 및 자기공명영상과 병리 조직에서의 잔류 암 크기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의 10%가 병리학적 관해에 도달하였다. 자기공명영상으로 관해를 예측할 때의 정확도와 곡선하부면적은 각각 90.91%, 0.8017이었다. 신보강화학요법 시행 후 유방자기공명영상과 병리 조직에서 측정한 잔류 암의 크기는 매우 강한 연관성을 보였고(r = 0.9, p < 0.001), 특히 영상에서 단일 종괴로 보였던 병변에서(p = 0.047) 그러하였다. 자기공명영상과 병리 조직 간의 잔류 암 크기는 내강형(p = 0.023), 그리고 자기공명영상에서 다초점 종괴 및 비종괴성 조영증강을 보인(p = 0.047) 환자군에서 유의미하게 큰 차이를 보였다.

결론: 자기공명영상은 유방암의 병리학적 완전 관해와 잔류 암 크기의 평가에 있어서 정확도가 높은 검사이다. 유방암 아형과 병변의 영상의학적 소견이 자기공명영상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친다.

Publication types

  • English Abstract